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충청남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1. 종합 결과
2. 지역별
2.1. 천안시장
2.2. 공주시장
2.3. 보령시장
2.4. 아산시장
2.5. 서산시장
2.6. 태안군수
2.7. 금산군수
2.8. 논산시장
2.9. 계룡시장
2.10. 당진시장
2.11. 부여군수
2.12. 서천군수
2.13. 홍성군수
2.14. 청양군수
2.15. 예산군수


1. 종합 결과[편집]


정원
15
기호정당의석수
(비율)
후보수
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석
(20.0%)
15
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2석
(80.0%)
15
3
ta-hash-start=w-053c6d7f4738971241bc0e506479c214[[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0석
(0%)
1


2. 지역별[편집]



2.1. 천안시장[편집]


{+1 [[파일:천안시 CI_White.svg}}} 천안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관(李在官)95,036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1.75%낙선
2박상돈(朴商敦)124,169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4.55%당선
3황환철(黃煥喆)3,2524위

ta-hash-start=w-72354ece92cab9e7b9ce80ac2ca69e9e[[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1.42%낙선
4전옥균(田沃均)5,1463위

무소속

2.26%낙선
선거인 수548,022투표율
42.24%
투표 수231,501
무효표 수3,898

박완주 의원의 성추행 의혹과 박상돈 시장의 경쟁력까지 더해져 이재관 후보는 12%차로 낙선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동남구에선 39:56로 무려 17%p 차이로 졌고, 서북구에서도 8%p 차이로 졌다.


2.2. 공주시장[편집]


{+1 [[파일:공주시 CI_White.svg}}} 공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섭(金廷燮)22,327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4.84%낙선
2최원철(崔源哲)27,463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5.15%당선
4이해선(李海善)사퇴

무소속

선거인 수91,847투표율
56.03%
투표 수51,464
무효표 수1,674

김정섭 공주시장 본인의 각종 논란[1]과 공주가 애초에 보수 우위 지역구였던만큼 김정섭 후보의 현직 프리미엄에도 불구하고 최원철 후보가 무난하게 승리하였다.


2.3. 보령시장[편집]


{+1 [[파일:보령시 CI_White.svg}}} 보령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영우(李永雨)20,338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9.80%낙선
2김동일(金東一)28,004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4.80%당선
4고종군(高鍾君)2,7513위

무소속

5.38%낙선
선거인 수86,264투표율
60.91%
투표 수52,544
무효표 수1,451

현직 김동일 시장의 시정평가가 긍정적이였던데다 보령 자체의 보수세까지 더해져 국민의힘이 무난하게 가져갔다. 여기에 더해 도지사 선거에서도 김태흠에게 62%라는 표를 몰아주면서 충남도지사 선거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냈고[2] 국회의원 보궐선거 역시 국민의힘에 몰표를 던져주며 수성하는데 성공했다.[3]


2.4. 아산시장[편집]


{+1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세현(吳世賢)58,000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9.43%낙선
2박경귀(朴慶貴)59,314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0.56%당선
선거인 수268,765투표율
44.40%
투표 수119,339
무효표 수2,025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현직 프리미엄에 지난 대선에서도 승리한 곳이라 해볼만한 지역구였으나 박완주 의원 사건과 충청 출신의 윤석열 대통령 허니문 효과가 합쳐지며 박경귀 후보가 현직 시장인 오세현 후보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2.5. 서산시장[편집]


{+1 [[파일:서산시 CI_White.svg}}} 서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맹정호(孟井鎬)30,866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3.49%낙선
2이완섭(李完燮)40,106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6.50%당선
선거인 수148,744투표율
48.57%
투표 수72,245
무효표 수1,273

맹정호 후보는 현직 프리미엄이 있음에도 재선에 실패하여 단임 시장으로 임기를 마치게 되었으며 이후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2.6. 태안군수[편집]


{+1 [[파일:태안군 CI_White.svg}}} 태안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가세로(賈世魯)17,4861위
51.64%당선
2한상기(韓相麒)16,3742위
48.35%낙선
선거인 수55,435투표율
62.63%
투표 수34,717
무효표 수857

가산점 때문에 국민의힘 공천이 뒤바뀌는 등 공천 내홍 때문에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이길 수 있는 지역구를 놓친 셈이 되었다. 실제로 도지사 선거에서는 김태흠이 10% 이상의 격차를 벌리는데 성공하여 더더욱 뒷맛이 씁쓸했다.


2.7. 금산군수[편집]


{+1 [[파일:금산군 CI_White.svg}}} 금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정우(文正禹)12,2222위
43.52%낙선
2박범인(朴範仁)15,8561위
56.47%당선
선거인 수44,747투표율
64.09%
투표 수28,679
무효표 수601

여론조사상으로는 접전이 예상되었으나 윤석열 대통령의 허니문 효과로 무난하게 승리하였다.


2.8. 논산시장[편집]


{+1 [[파일:논산시 CI_White.svg}}} 논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진호(金鎭鎬)18,7482위
35.65%낙선
2백성현(白星鉉)33,8411위
64.34%당선
선거인 수99,942투표율
53.85%
투표 수53,818
무효표 수1,229

안희정의 고향으로 본래 민주당세가 강했던 논산이지만[4], 윤석열 대통령 부친의 고향인 점과 더불어 허니문 효과로 인해 이번 지선 충남 기초단체장 중 국민의힘 후보가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2.9. 계룡시장[편집]


{+1 [[파일:계룡시 CI_White.svg}}} 계룡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대영(金大榮)8,6032위
45.25%낙선
2이응우(李應雨)10,4081위
54.74%당선
선거인 수34,875투표율
55.37%
투표 수19,309
무효표 수298

태안군과 같이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 이른바 호떡공천이라 불리는 잡음이 발생하였고 이 과정에서 신세를 비관한 이기원 전 시장의 자살이라는 악재도 있었지만 이응우 후보가 김대영 후보를 상대로 무난히 승리하였다.


2.10. 당진시장[편집]


{+1 [[파일:당진시 CI_White.svg}}} 당진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기재(金基宰)26,8302위
41.98%낙선
2오성환(吳星煥)37,0701위
58.01%당선
선거인 수140,008투표율
46.34%
투표 수64,881
무효표 수981

민선 이래 최초로 당진에서 국민의힘 계열 보수정당 소속 시장이 당선되었다. 민주당이 충남에서 얼마나 민심을 잃었는지 알 수 있는 결과인데 열린우리당이 대참패했던 4회 지선에서도 당진만큼은 표 분열에 힘입어 열린우리당이 사수했던 곳이였다. 더군다나 현직 국회의원, 시장, 도의원이 죄다 민주당인 상황이라 현역프리미엄까지 업었음에도 기록적인 참패를 당한 것.


2.11. 부여군수[편집]


{+1 [[파일:부여군 CI_White.svg}}} 부여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정현(朴政賢)21,9261위
62.02%당선
2홍표근(洪杓根)13,4242위
37.97%낙선
선거인 수57,322투표율
63.57%
투표 수36,440
무효표 수1,090

상대적으로 더 명망가라 경쟁력이 있었던 전직 군수가 여성가산점으로인해 공천에서 탈락한 것이 국민의힘에 악재가 된 것으로 보인다.


2.12. 서천군수[편집]


{+1 [[파일:서천군 CI.svg}}} 서천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승광(劉承光)13,5432위
48.19%낙선
2김기웅(金基雄)14,5591위
51.80%당선
선거인 수45,864투표율
63.85%
투표 수29,283
무효표 수1,181

같은 날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 출마한 3선 서천군수 출신 민주당 후보로 인한 줄투표 효과 및 국민의힘 경선에서 현직 군수가 낙선하는 등으로 인해 예상 밖의 접전을 만들었다.[5] 다만 그럼에도 보수 강세 지역인점은 어쩔 수 없었는지 천여표 차이로 국민의힘 김기웅 후보가 승리했다.


2.13. 홍성군수[편집]


{+1 [[파일:홍성군 CI_White.svg}}} 홍성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배근(吳培根)20,7612위
46.33%낙선
2이용록(李鎔錄)23,0701위
51.48%당선
4오재영(吳在寧)6863위
1.53%낙선
5정낙송(鄭樂松)2924위
0.65%낙선
선거인 수84,260투표율
54.26%
투표 수45,721
무효표 수912

민주당 후보로 나선 오배근 후보가 본래 보수정당 소속이었고 정치 경력이 길어 조직력이 탄탄했던만큼 홍성군이 보수 우위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이용록 후보와 5%차 접전을 만들어냈다.


2.14. 청양군수[편집]


{+1 [[파일:청양군 CI_White.svg}}} 청양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돈곤(金敦坤)9,5221위
49.88%당선
2유흥수(兪興洙)5,2932위
27.73%낙선
4신정용(申正容)4,2713위
22.37%낙선
선거인 수27,932투표율
70.47%
투표 수19,684
무효표 수598

국민의힘에서 경쟁력 있던 신정용 후보의 컷오프로 무소속 출마가 이루어지면서 보수 표심이 분산 된 탓에 거의 1:1의 비율로 갈라먹으며 현직 프리미엄이 있는 김돈곤 군수 상대로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2:1:1의 득표율을 보이며 김돈곤은 군수직 재선을 달성하였다.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공천 잡음으로 인해 이길 수도 있는 지역구를 무기력하게 패배하는 결과가 나왔다. 이 지역 투표율이 지방선거 치고 70%로 이례적으로 매우 높았는데 김돈곤 득표율이 약 50%를 기록하며 전체 유권자 중 35%로부터 표를 받은 점을 볼 때 초선 군수 시절 일을 꽤 잘했던 것으로 보인다.


2.15. 예산군수[편집]


{+1 [[파일:예산군 CI_White.svg}}} 예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학민(金學民)15,4142위
41.03%낙선
2최재구(崔載求)22,1471위
58.96%당선
선거인 수69,069투표율
56.12%
투표 수38,764
무효표 수1,203

충남 내에서 최고의 보수 텃밭답게 17%p차로 국민의힘 최재구 후보가 완승을 거두었다. 다만 최 후보도 이번이 초선 출마인지마라 현직 프리미엄이 없는 상황이라 민주당 김학민 후보도 40%를 넘기며 꽤 선전했다.


[1] 김정섭 전 공주시장은 2020년에 충남 유주택자 기초자치단체장 중 충남에 집을 보유하지 않은 유일한 기초자치단체장으로써 공주에 집을 사겠다고 공개적 기자회견까지 했으나, 2021년에 재산공보를 까본 결과 목동 집을 아직도 팔지 않고 공주에 집을 아직도 사지 않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내에서 비판여론이 거셌다.[2] 김태흠이 보령시 출신인데다 보령-서천 지역구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낸만큼 김태흠의 홈스테이트로 꼽혀온 곳이 보령이다.[3] 다만 보령과 서천 사이의 소지역주의로 인해 국회의원 보궐선거만큼은 국민의힘이 서천에서 부진했다.[4] 다만 민주당세가 무조건적으로 강했다고 보는 것도 오산인데 논산이 안희정의 고향이지만 동시에 강경보수인 이인제의 지역구이기도 했고 18대 대선 당시에는 박근혜의 득표율이 더 높았다.[5] 다만 도지사 선거에서는 김태흠이 15% 격차로 승리하여 보수 강세지역임을 입증하기도 했다.